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형평성2

제7장 소비자, 생산자, 시장의 효율성(2) 2022.10.06 - [맨큐의 경제학] - 제7장 소비자, 생산자, 시장의 효율성 (1)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는 경제학자들이 판매자와 구입자의 후생을 측정하는 기본적인 분석 도구다. 우리는 이를 사용하여 경제학의 근본적 질문인 '자유로운 시장 기능에 따른 자원 배분이 바람직한가?'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있다. 선의의 사회계획자 시장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가상의 인물을 소개하고자 한다. 그는 선의의 사회계획자이다. 선의의 사회계획자는 독재자다. 이 계획자는 모든 사회 구성원의 경제적 후생을 극대화하려고 한다. 그러기 위해서 계획자는 한 사회의 경제적 후생을 측정하는 기준부터 결정해야 한다. 한 가지 기준은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의 합이다. 소비자잉여는 소비자가 시장에 참가하여 얻는 이득이고, 생산자잉.. 2022. 10. 7.
제1장 경제학의 10대 기본원리 (1) 경제를 의미하는 economy라는 단어는 원래 '집안 살림하는 사람'이라는 의미의 'oikonomos'라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얼핏 이러한 어원이 약간 이상하다고 느껴질 수도 있지만 가정 살림살이와 경제에는 공통점이 많다. 가정 살림살이에서도 사회에서도 자원을 관리하는 건 중요한 일이다. 왜냐하면 자원은 희소하기 때문이다. 희소성이란 사람들이 가지고 싶은 만큼 다 가질 수 없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어느 가정에서든지 모든 식구가 원하는 것을 다 할 수 없는 것처럼, 한 사회도 그 구성원들이 원하는 최고의 생활 수준을 누구에게나 보장해줄 수 없다. 경제학이란 사회가 희소자원을 어떻게 관리하는지 연구하는 학문이다. 경제학에는 여러 분야가 있지만 몇 가지 기본원리를 공유하고 있다. 이 장에서는 경제학.. 2022. 9.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