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의 배분이 사람들의 경제적 후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경제학의 한 분야인 후생경제학에 대해 알아볼 차례다. 공급자와 수요자가 시장에 참가해서 얻는 이득과 사회 전체가 이득의 총량을 어떻게 극대화하는지 알아야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근본적인 결론이 도출된다. 그 결론은 어느 시장에서든지 수요자와 공급자가 누릴 이득의 총합이 수요와 공급의 균형점에서 극대화된다는 것이다. 후생경제학을 공부하면 경제학의 10대 기본원리를 보다 자세히 이해할 수 있다.
소비자잉여와 지불용의
어느 사람이 엘비스 프레슬리의 첫 음반을 가지고 있다. 이 사람은 엘비스 프레슬리의 음반을 팔고자 한다. 음반을 판매하려는 한 가지 방법은 경매에 부치는 것이다. 이 경매에 네명의 엘비스 팬이 나타났다. 네 사람 모두 이 음반을 사고 싶어 하지만 각자 부담할 수 있는 금액에는 상한선이 있다. 구입 희망자가 지불하고자 하는 최고 금액을 지불용의라고 한다. 지불용의를 통해 구입 희망자가 물건에 얼마나 가치를 부여하는지 알 수 있다. 구입 희망자는 자신의 지불용의보다 낮은 가격에서는 음반을 사고 싶겠지만, 지불용의를 초과하는 가격을 내고 사지는 않을 것이다. 가격이 지불용의와 일치하면 소비자는 음반을 사든 안 사든 마찬가지라고 느낄 것이다.
존의 지불용의는 100달러, 폴은 80달러, 조지는 70달러, 링고는 50달러이다. 음반 주인은 이 음반을 팔기 위해 낮은 가격부터 부를 것이다. 우선 10달러로 구매가격을 정했다고 하자. 네 사람은 모두 그 이상의 금액을 낼 용의가 있기 때문에 가격은 금방 오른다. 가격 올리기는 존이 80달러 이상을 부를 때 끝난다. 다른 세 명은 80달러보다 높은 금액을 지불할 의사가 없기 때문이다. 결국 존이 80달러 또는 약간 더 높은 금액을 주고 음반을 가져갈 것이다. 이 음반의 가치를 최고로 쳐주는 사람에게 팔린 것이다. 존은 엘비스의 음반을 낙찰받음으로써 어떤 이득을 얻을까? 존은 어떤 의미에선 이 물건을 싸게 산 것이다. 그는 100달러라도 낼 용의가 있었지만 80달러만 지불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존이 20달러의 소비자잉여를 누렸다고 한다. 소비자잉여란 구입자의 지불용의에서 구입자가 실제로 지불한 금액을 뺀 나머지 금액을 말한다.
소비자잉여는 소비자가 시장에 참가하여 얻는 이득이라고 할 수 있다. 앞의 예에서 존은 경매에 참여함으로써 20달러에 해당하는 이득을 얻었다. 나머지 세 사람은 음반을 얻지 못했지만 동시에 아무것도 지불하지 않았으므로 이들은 경매에서 아무런 소비자잉여를 누리지 못했다.
약간 다른 예를 들어 이번에는 어느 사람이 똑같은 엘비스 음반을 2장 가지고 있고, 다시 그 네명에게 경매한다고 가정해보자. 분석의 편의를 위해 두 음반은 같은 가격에 판매되어야 하고, 한 사람이 음반 1장만 구입할 수 있다고 정하자. 따라서 경매는 두사람이 남을 때까지 진행될 것이다. 그러면 존과 폴이 70달러보다 약간 높은 금액을 부를 때 종료된다. 이 가격에서는 존과 폴이 음반을 구입할 것이다. 존과 폴은 각각 30달러와 10달러의 소비자 잉여를 누리게 된다. 시장에서 소비자잉여의 합계는 40달러가 된다.
수요곡선을 이용한 소비자잉여 계산법
수요곡선을 이용하여 소비자잉여를 계산할 수 있다. 수요곡선의 아랫부분과 가격수준 윗부분의 면적이 시장에서 발생하는 소비자잉여의 크기다. 그 이유는 수요곡선의 높이가 바로 소비자들이 그 재화에 부여하는 가치, 즉 지불용의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지불용의와 시장가격의 차이가 각 소비자의 소비자잉여이다. 따라서 수요곡선의 아랫부분이면서 가격수준의 윗부분의 면적이 이 시장에서 모든 소비자가 누리는 소비자잉여의 합이 된다.
가격 하락에 따른 소비자잉여의 증가
소비자는 낮은 가격으로 물건을 사고 싶어 하기 때문에 가격이 낮아지면 이득을 본다. 가격이 하락할 때 소비자가 얼마나 이득을 보는지에 대해 소비자잉여의 개념을 이용하면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
소비자잉여는 무엇을 측정하는가
소비자잉여라는 개념은 시장 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필요하다. 경제 제도를 입안해야 하는 정책담당자에게 소비자잉여는 경제 후생을 측정하는 좋은 지표가 된다. 대부분의 시장에서 소비자잉여는 경제적 후생을 반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정책담당자가 소비자 행동의 배경이 되는 소비자 취향을 존중하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잉여를 별로 중요하게 여기지 않기도 한다.
생산자잉여와 판매용의
소비자가 있다면 생산자의 경우 시장에 참가하여 얻는 이득은 무엇일까? 이것을 알아보는 방법은 소비자잉여에 대한 분석과 유사하다. 어떤 사람이 집에 페인트칠하려고 한다. 그리고 메리, 프리다, 조지아, 그랜마 등 네 사람을 구했다. 각 페인트공은 가격만 맞으면 일할 용의가 있다. 집주인은 이 작업을 입찰에 부쳐 가장 낮은 가격을 제시한 사람에게 작업을 맡길 예정이다. 각 페인트공은 자신이 받을 가격이 작업비용을 초과하는 한 페인트 작업을 할 용의가 있다. 여기서 비용이란 기회비용을 의미한다. 기회비용은 페인트칠하기 위한 재료를 구입하는 비용과 그들의 시간에 부여한 가치도 포함된 금액이다. 메리는 900달러, 프리다는 800달러, 조지아는 600달러, 그랜마는 500달러의 비용이 든다. 페인트공의 비용은 작업을 하고자 하는 최소한의 가격이므로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용의를 나타내는 금액이다. 각 페인트공은 자신이 계산한 비용보다 높은 가격에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고, 낮은 가격에서는 거절할 것이다. 가격과 비용이 일치하면 서비스 제공하는 것과 하지 않는 것 중에 선택할 것이다.
입찰받을 때 높은 가격부터 시작할 수도 있다. 그러나 페인트공들의 경쟁에 따라 가격은 하락할 것이다. 집주인이 600달러를 제시하면 그랜마만 남을 것이다. 그랜마는 비용이 500달러기 때문에 기꺼이 일할 것이다. 조지아는 600달러 미만을 받고 일할 의사가 없다. 결과적으로 가장 낮은 비용에 작업할 수 있는 사람이 낙찰된다. 그랜마가 이 일을 함으로써 생산자잉여 100달러를 누리게 된다. 생산자잉여란 공급자가 실제로 받은 금액에서 비용을 뺀 금액이다. 이것이 공급자가 시장에 참가해서 얻는 이득이다.
이제 약간 다른 상황을 가정해보자. 집주인이 집을 2채에 페인트칠하려고 한다. 이 일도 네 사람에게 입찰하려고 한다. 분석의 편의를 위해 한 사람이 두 집을 다 맡을 수 없고, 두 페인트공에게 같은 금액을 지급해야 한다고 하자. 그러면 입찰 경쟁은 두 사람이 남을 때 중단된다. 이 경우 그랜마와 조지아가 800달러를 제시할 때 중단된다. 그래서 그랜마는 300달러, 조지아는 200달러를 누리게 되어 생산자잉여의 합계는 500달러가 된다.
공급곡선을 이용한 생산자잉여 계산법
소비자잉여가 수요곡선과 밀접한 관계에 있듯이 생산자잉여도 공급곡선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가격수준의 아랫부분과 공급곡선의 윗부분의 면적이 시장에서 발생하는 생산자잉여의 크기다. 공급곡선의 높이가 공급자들의 비용이고, 공급자들이 받는 가격과 비용의 차이가 생산자잉여기 때문이다. 그리고 모든 공급자의 생산자잉여를 합한 것이 가격수준 아래쪽에 있으면서 공급곡선 위쪽에 있는 부분의 전체 면적과 일치한다.
가격 상승에 따른 생산자잉여의 증가
공급자들은 항상 높은 가격을 받고 싶어 한다. 그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가격이 상승할 경우 공급자의 후생은 얼마나 증가할까? 이것 역시 생산자잉여를 통해 측정할 수 있다. 소비자잉여로 소비자 후생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생산자 후생도 측정할 수 있다.
요약
- 소비자잉여는 소비자의 지불용의에서 실제로 지불한 금액을 뺀 나머지를 의미한다. 소비자잉여는 소비자가 시장에 참가하여 얻는 이득을 나타낸다. 소비자잉여는 수요곡선의 아래, 가격수준 윗부분의 면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 생산자잉여는 공급자가 실제로 받은 금액에서 생산비용을 뺀 나머지를 의미한다. 생산자잉여는 공급자가 시장에 참가하여 얻는 이득을 나타낸다. 생산자잉여는 가격수준의 아래, 공급곡선 윗부분의 면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간단한 퀴즈>
- 닭의 수요곡선을 그려라. 닭의 가격을 설정하고 그 가격에서 발생하는 소비자잉여를 표시하라. 그리고 이 소비자잉여가 무엇을 나타내는지 설명하라.
- 계란의 공급곡선을 그려라. 계란의 가격을 설정하고 그 가격에서 발행하는 생산자잉여를 표시하라. 그리고 이 생산자잉여가 무엇을 나타내는지 설명하라.
2022.10.04 - [맨큐의 경제학] - 제6장 수요, 공급과 정부 정책(1)
2022.10.07 - [맨큐의 경제학] - 제7장 소비자, 생산자, 시장의 효율성(2)
'맨큐의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이지 않는 손이 주차 문제를 해결해줄 수 있다. (1) | 2022.10.08 |
---|---|
제7장 소비자, 생산자, 시장의 효율성(2) (0) | 2022.10.07 |
제6장 수요, 공급과 정부 정책(2) (1) | 2022.10.05 |
베네수엘라와 시장의 대결 (0) | 2022.10.04 |
제6장 수요, 공급과 정부 정책(1) (0) | 2022.10.04 |
댓글